본문 바로가기

Economic Life/투자

담배값 인상 8000원 관련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728x90
반응형

2014년 11월 국회에서 담뱃세 인상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기존 갑당 2500원이었던 담배가 2000원 인상된 4500원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이 가격은 2023년 현재까지도 그대로 이어져오며 10년 가까이 가격이 유지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가격을 올린 소주, 맥주 같은 주류와는 달리 담배의 경우 물가상승률에도 가격이 고정되어 슬슬 담배값 인상 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담배값 인상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랍니다! 라고 믿는 분은 많이 없으실 것이고 결국 부족한 세금을 더 걷기 위해서입니다. 담배값의 구조를 보시면 4500원 중 담배소비세 1007원, 지방교육세 443원, 개별소비세 594원 등 세금이 총 3323원으로 비중이 74%입니다.

 

 

지난 2021년 1월 27일 당시 문재인 정부에서 보건복지부는 앞으로 10년 동안 담배 가격을 OECD 평균 수준인 8,000원 정도로 인상시킨다는 내용이 담긴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 발표 이후로 반발이 심하자 즉시 올린다는 말이 아니라 앞으로 10년 동안의 계획에 대한 방향성을 발표한 것일 뿐이라며 해명한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다시 담배값 인상에 관한 언급이 나오며 담배값 인상이 곧 현실화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언제 올릴 것인가에 대한 생각도 하지 않을 수 없겠죠. 아래 자료는 2021년 기준 대한민국 흡연율 현황입니다. 19세 이상의 인구 중 약 20%가 담배를 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19세 이상 인구가 약 4300만 명 정도 되니 860만 명 이상이 담배를 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인구와 청소년들의 흡연까지 더하면 꽤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갑자기 흡연자 수를 계산하냐고요? 바로 이들이 유권자기 때문이죠. 최근에 청소년 투표권까지 생겼기 때문에 이들도 포함시킨다면 과연 현 정부가 2024년 4월 총선을 앞두고 900만 명이 넘는 흡연자들의 심기를 거스를 수 있을까요? 900만 명의 유권자들이 단순 투표 참여와 정치 성향을 떠나서 담배값 인상으로 본인들에게 피해를 준 상황을 보고 흔들리지 않을 사람이 단 한명도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제가 정부 관계자였다면 적어도 올해 인상안을 통과시켜 내년 1월1일부터 담배값 8000원을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높은 확률로 올해 인상이 안된다면 내년에 인상안이 통과되어 2025년 1월 1일부터는 담배값이 8000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담배값 인상에 관한 논의도 총선이 끝난 이후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미리미리 대비해서 주식을 알아봐야겠죠?

 

관련주에 대해서는 계속 생각 중이긴 한데 다들 담배하면 KT&G만 떠오르시는 분들이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이것보다는 다른 것들이 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은 지난 2014년처럼 담배값 인상이 확정된 이후로 오른 주식들을 봐야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GS리테일입니다.

시기와 비교해보겠습니다.

2014년 9월 11일 : 정부가 담배값을 2000원 인상하는 안을 여당에 보고

2014년 11월 28일 : 여야가 담배값 인상 2000원 합의

2014년 12월 2일 : 담배값 인상안 통과

2015년 1월 1일 : 담배값 인상된 가격으로 판매 시작

 

  GS리테일 인상률(2014년 9월 대비)
2014/09/11 24,550 -
2014/11/28 25,300 3.05%
2014/12/02 25,150 2.44%
2014/12/30 25,560 4.11%
2015/02/03 27,800 13.24%
2015/03/02 27,750 13.03%
2015/04/01 33,450 36.25%

 

담배값 인상으로 인해 매출 상승으로 엄청난 호재를 불러 일으킨 바가 있습니다. 이 상승세는 계속 이어졌고 8월에는 7만원 가까이 찍으며 굉장한 오름세를 보여줬습니다.

 

같은 기간 KT&G의 경우 90,200원에서 89,900원으로 제자리 걸음을 한 것을 보면 만약 담배값 인상이 확정될 경우 GS리테일이 조금 더 좋은 주식으로 보입니다. KT&G의 경우 시간이 지나자 다시 주가가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긴 했으나 단순히 담배값 인상이라는 뉴스를 보고 단기간 수익을 내기위해 사는 것은 별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일단은 총선을 앞둔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은 담배값 인상을 하지않을 것이라 믿으며 내년 총선이 끝나고 조금씩 GS리테일을 매수한다면 2025년 봄에는 계좌가 두둑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다만 장투는 추천드리지 않고 담배값 인상이 시행된 후 6개월 안에는 다 파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